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마진 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경제, 부동산, 증시, 단어 곳간/경제 금융 용어 2022. 10. 11. 16:30

    마진 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2022년 많은 사람들이 빚투와 지속적인 하락으로 인하여 매우 안타까운 일들이 많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레버리지, 선물, 파생상품을 무리하게 투자를 하다 마진콜을 당하여 깡통 차는 일 (계좌 0원, 남은 금액이 별로 없는 경우)이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과연 마진콜이 무엇인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마진 콜을 알기 위해 필요한 단어들

      • 증거금(마진 - margin) - 선물거래 시 계약의 이행을 보증하기 위해 증권 화사에 납부하는 보증금
      • 일일정산 - 선물 가격의 변동에 따라 방생하는 손익을 매일 재계산하는 것으로 계좌별 증거금 변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 강제 청산-고객의 계정이 중개 회사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매도되는 일입니다.

       

      마진 콜(margin call)이란

      융자나, 레버리지, 스탁론 없이 현금 100만 원을 가지고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할 때는 100만 원의 현금이 들어가지만 선물 거래나 파생상품, 레버리지, 스탁론은 일종의 계약관계이기 때문에 실제로 돈이 들어가지 않으며 일종의 보증금이 필요합니다. 이 보증금을 증거금이라고 부릅니다. 즉 돈을 빌려 투자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진콜(margin call)은 증거금(마진)을 요구하는 전화하는 뜻으로 선물이나, 레버리지, 스탁론 투자 시 일일정산 후 손실이 발생하여 증거금 잔액이 유지증거금 미만이 되면 다시 개 기증 거금 수준으로 추가 증금을 충당하도록 요구는 행위입니다. 마진콜이 발생하면 추가 증거금을 다음 날 12시까지 납부해야 하는데 이행하지 않으면 증권회사는 임의로 강제 청산을 해버립니다. 쉽게 생각하면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릴 때 집을 담보로 빌려 사업을 했는데 사업이 망해서 사채업자들이 담보로 잡은 집을 강제로 팔아 버린 셈입니다. 과한 레버리지, 스탁론, 파생상품, 선물은 High Risk - High Return 투장 방법이니 자신이 감당 가능한 선에서, 확률이 높을 때 추천드립니다.

       

      마진 콜(margin call) 사례

      아는 형님께서 스탁론을 오랫동안 사용하시며 재미를 많이 보시다 코로나 팬데믹 때 급락하는 장을 겪으며 스탁론의 증거금을 채우려고 지인들에게 돈을 빌리면서 채우다 도저히  감당이 안돼 반대매매, 강제 청산을 당하였습니다. 그 후 인생은 180도 바뀌어습니다.

       

      하루 22조 원을 날린 역대급 마진콜 사례라 불리는 아케고스 마진콜 사례를 찾아보시면 과도한 레버리지나, 선물, 스탁론 등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게 될 것입니다.

      Ending - 감당 가능한 선에서 레버리지, 선물, 파생 투자를 하는 건 부를 쌓기 위한 최고의 방법이지만 너무 도가 지나치면 파멸을 부르게 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