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리, 시장금리, 기준금리 설명과 현재상황경제, 부동산, 증시, 단어 곳간/경제 금융 용어 2022. 8. 7. 04:14
금리, 시장금리, 기준금리, 설명과 현재상황
요즘 텔레비젼 어디를 틀어놔도 금리, 기준금리, 시장금리 인상 FED, 한국은행이란 단어들을 보실수 있습니다. 금리, 시장금리,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우리가 살아가는데 얼만큼, 왜 중요한지, 현재상황이 어떤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금리란 무엇일까?
Pixabay로부터 입수된 Dong~~~~ Kim님의 이미지 입니다. 금리는 돈의 값 = 쉽게 생각하여 '이자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높다라고 말하는 것은 내가 돈을 빌렸는데 갚아야할 이자율이 높고 반대로 금리가 낮다라고 말하는 것은 내가 돈을 빌렸는데 갚아야할 이자율이 낮습니다. 현재 뉴스에서 하루가 멀다하고 몇번씩 금리인상에 따른 여파, 영끌족들, 빚투 이러한 단어, 뉴스들이 나오는 이유는 현재상황이 금리가 지속적으로 급격하게 올라가고 있고 금리인상이 몇차례 예고된 상태라 돈을 빌린 사람들이 갚아야할 이자율이 높아자져 부채의 부담감으로 서민들의 삶에 직견탄처럼 날아올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 자본시장들이 얼어붙고 있는 추세입니다. 금리의 종류들은 매우 많지만 인생을 살면서 직접적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주는 중요한 금리는 시장금리와 기준금리로 나눌수 있습니다
시장금리
경제적 뜻은 자유경제 자금시장에서 자금을 거래할 떄 시장 참여자들의 자금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금리라고 책에도 써져 있습니다 . 쉽게 생각하여 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국채금리, CD금리, 채권금리, 사채금리, 은행금리 등등아주 많습니다. 이러한 금리들을 시장금리라고 불릅니다. 개인들에게 가중 중요한 금리는 주담대금리. 가계대출금리일거라 생각이 듭니다. 전국은행연합회 사이트를 이용하면 각 은행들마다 예 적금, 가계대출, 주택담대 금리를 쉽게 비교 가능합니다.
기준금리
경제적 뜻은 금을 조달하거나 운용할 때 적용하는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라고 말합니다. 각국의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금리라고 쉽게 생각할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한국은 한국 은행(금융통화위원회), 미국은 FED (연방준비제도)에서 금리를 결정합니다. 예시를 들자면 한국 기준금리가 (가상으로) 10이라고 설정하면 부채부담, 이자율 때문에 서민들의 삶이 힘들다고 판단되어 기준금리를 6으로로 내린다고 한국 은행에서 발표하면 한국 기준금리는 6이 됩니다. 현재 한국 기준금리는 2.25 / 미국은 2.5 기준금리 역전된 상황입니다. 현재상황을 밑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봅시다!
현재상황
우리나라는 독단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리고 내릴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미국 FED의 기준금리 보면서 한국은행이 조절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달러 기축통화국으로 전세계의 기준 은행들이 미국FED의 행보를 지켜보며 따라합니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이후 FED의 엄청난 양적완화로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다른 자산 가격이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축적되다가 코로나 이후 더 많은 양적완화 및 러시아발 침략으로 40년만에 CPI, PPI 최고치를 경신하여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저금리를 유지하던 FED에서 기준금리를 (통상적으로 한번 금리 인상할때 .25씩 인상합니다.) .50bp 빅스텝에 이어 자이언트 스텝인 .75bp를 감행을 하게 됩니다. 그 바람에 현재 우리나라보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더 높은 상황에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달러 기축통화국 금리(미국)가 이머징 국가 금리(한국 등)보다 높으니 외국 자본들이 미국으로 들어가면서 우리나라의 외환이 빠져나가 환율 1300원을 넘기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미국 중앙은행 FED에서는 연말까지 최소 3.5로 기준금리를 맞춘다고 하는데 외환이 얼마나 더 빠져 나갈지 두렵습니다. 그래서 정부가 빠르게 금리를 올려야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하지만 앞에서 말씀드렸다시피 금리를 급격하겨 올려버리면 저금리에서 많은 대출을 받은 서민들은 고금리때문에 삶이 힘들어지기 시작합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FED에서 금리를 크게 올려버리니 한국도 같이 따라 올려야하는데 서민들 가계부채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인거 같습니다. 연말까지 인플레이션이 안잡힌다면 FED에서 어떠한 정책을 내놓을지 의문이 생깁니다. 우리나라 과연 정부에서는 어떠한 선택을 할지 궁금해지네요. 하루빨리 인플레이션이 잡히길 바래 봅니다 다음 글은 인플레이션과 자본시장에 대해 깊게 알아가보자 합니다
'경제, 부동산, 증시, 단어 곳간 > 경제 금융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진 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5) 2022.10.11 CPI 발표, 현재 상황 (0) 2022.08.10 GDP무엇일까? / IMF GDP하향 이유와 의미 (2) 2022.08.03